본문 바로가기
내공간

<작별인사> - 김영하

by azasoony 2022. 8. 9.
728x90
반응형

<작별인사> 김영하의 소설을 읽었어요. 

지난 피드에 소개해 드린 밀리의 서재로 읽은 첫 소설입니다. 이번에 3년 쓴 스마트 폰을 바꾸면서 LTE 요금제에서 5G 요금제로 바뀌면서 제가 이용 중인 KT초이스 요금제를 사용 때까지 무제한 무료인 밀리의 서재입니다. 흐흐  전 너무나 좋네요.

도서관에 신간을 빌리려고 하면 몇달은 예약을 걸어놔야 되는데요. 그래도 종이책이 좋긴 합니다.

 

소설가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 이후 9년 만의 신작 장편소설이에요. 사실 김영하 작가의 소설은 처음 읽어봅니다. 이 책을 읽고 팬이 되어버렸네요. 이 전에 나온 책들 <검은 꽃>, <빛의 제국>, <아랑은 왜> 등 하나하나 찾아서 읽어봐야겠습니다. 

 

줄거리

주인공 철이는 자신이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아버지와 살아갑니다. 어느 날 수용소로 이끌려 가게 되고 그곳에서 민이와 선이를 만나고 다른 휴머노이드를 만나면서 자신이 인간이 아니고 연구소에 근무하는 연구원인 아버지가 만들어 낸 휴머노이드라는 걸 알아가게 되는데요. 그 속에서 철이는 많은 선택에 놓이게 되고 어떤 선택을 할지 고민을 하게 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제가 생각했던 제목의 느낌이랑 다른 소설이었어요. 전 <작별인사>라는 제목의 소설이 달달한 사랑이야기나 아니면 가족 간의 이별 뭐 이런 소설인 줄 알았는데요. 영화에서나 봤을법한 로봇이나 기계,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이야기합니다. 읽으면서 이런 상황이 곧 다가올 우리의 미래인가 싶기도 하고 감정이 있는 인류는 멸망할지, 혹은 뜨거워진 지구 때문인지 몰라도 인류의 종말 같은 조금은 무섭지만 점점 가까워오는 미래인 듯하여 많은 감정이 들었던 소설입니다.  점점 더 인류는 인공지능이나 로봇에 의존하게 되어 이것이 없으면 자연스레 살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도 드네요. 

작별인사
작별인사-김영하

기억에 남는 문장들

 

"어떤 특별함은 멀리에서만 발견됩니다. 당신의 가치를 가장 모르는 게 바로 당신 자신일 수 있습니다. "

-- 내가 모르는 나의 진정한 가치는 무엇일까?

 

"인간은 과거와 현재, 미래라는 관념을 만들고 거기 집착합니다. 그래서 인간들은 늘 불행한 것입니다. 그들은 자아라는 것을 가지고 있고, 그 자아는 늘 과거를 후회하고 미래를 두려워할 뿐 유일한 실재인 현재는 그냥 흘려보내기 때문입니다."

-- 현재를 즐기자! 지금! 이 순간을!  

 

"개별적인 의식을 가지고 살아 있는 것은 그것만으로도 엄청난 행운이니 너무나 짧은 이 찰나의 생을 통해 조금이라도 더 나은 존재가 되도록 분투하고, 우주가 원리를 더 깊이 깨우치려 애써야 한다는 것이다. 선이 에게는 그래서 모든 생명이 소중했다. 누구도 허망하게 죽어서는 안 되며, 동시에 자신의 목숨도 헛되이 스러지지 않도록 지켜내야 했다."

-- 누구든 태어난 이유가 있는 것이다.  나에게 주어진 삶의 시간 소중하고 감사하게 생각하며 하루하루를 충실히 살아가자!

 

이외에도 많은 문장들이 가슴에 남는데요. 영화에서 볼만한 공상과학 영화 같은데 많은 인문학적인 부분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소설입니다.  씁쓸하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고, 감동적이기도 하고, 마지막 장면에서는 눈물까지...

 

이 소설 추천합니다. 다음 피드에서 만나요~

https://sugareye04.tistory.com/entry/kt%EC%9A%94%EA%B8%88%EC%A0%9C-%EC%8B%9C%EC%A6%8C%EC%A7%80%EB%8B%88-%EB%B0%80%EB%A6%AC%EC%9D%98-%EC%84%9C%EC%9E%AC-%EB%AC%B4%EC%A0%9C%ED%95%9C-%EA%B5%AC%EB%8F%85?category=1022711

 

kt요금제 시즌/지니 밀리의 서재 무제한 구독

KT 요금제 이용 중이시면 밀리의 서재 구독 서비스 무료로 무제한 구독 가능한 거 아시나요? 3년 넘게 쓴 스마트폰 갤럭시 S8 ! 이젠 널 보내줘야 할 때가 된 거 같아~ 오랫동안 함께 했던 스마트폰

sugareye04.tistory.com

 

반응형

댓글